- 1식물생리학및실험 Plant Physiology and Experiment
-
식물체의 구성요소 및 이들의 각종 대사에 관한 원리와 이론을 학습하여 식물생리(영양생리, 생식생장, 결실)에 대한 기본지식을 함양하고 실제 식물재배 및 관리시의 응용력을 높인다.
- 2화훼원예및실습 Floriculture and Practice
-
화훼식물의 종류와 특성에 관하여 학습하고 정원 또는 조경 공간에서 재배 시 필요한 환경 관리에 관하여 학습한다.
- 3환경생태 Environmental Ecology
-
인간, 식물, 동물이 함께 생활하는 환경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조명하여 이를 유지, 관리할 수 있는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.
- 4색채및실습 Color and Practice
-
정확한 색채이론과 배색 실습을 통해 가든디자인 및 식재 과정에서 필요한 주제와 목적에 맞는 색채디자인 적용과 활용이 가능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
- 5식물식별기초 Plant Identification
-
식물 기재용어, 식물 명, 식물의 특징 등을 학습하여 식물 관리의 기초 소양으로써 필요한 식물 식별 능력을 배양한다.
- 6정원학 Introduction to Gardens
-
동서양 정원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정원에 필요한 미의 구성 요소 식재원리에 관하여 학습한다.
- 7토양비료 Soil & Fertilizer
-
원예 전과목의 기초 학문으로서 토양의 생성과 발달 성질, 구조, 물리적·화학적 변화 및 비료에 관한 학습을 통하여 작물 경작의 생산성을 높이고 수량 증대를 도모하는 기술을 익힌다.
- 8도시원예학 Urban Horticulture
-
원예학을 기초로 도시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채소작물 및 먹거리 재배,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습득한다.
- 9원예경영창업실무 Horticultural Business Entrepreneurial Practice
-
원예산업에 대한 경영론과 그에 따른 고객관리 및 회계관리, 안전관리, 홍보, 판매 등을 습득하고, 매장운영에 대한 이론 및 실제사례를 통해 원예경영 제반을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한다.
기초 분야
- 1제도및표현기법 Drawing and Presentation Practice
-
정원설계도면 작성을 위한 기초적인 선, 문자, 소재표현기법, 도면구성 등을 학습하고,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디자인발상 및 표현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한다.
- 2정원기초설계 Basic Garden Design
-
원예식물을 비롯한 정원소재를 활용한 소규모정원을 디자인하고 도면 작성을 실습한다.
- 3정원상세설계 Detailed Garden Design
-
여러 정원시설물과 포장, 구조물을 손으로 디자인해서 CAD로 도면화하는 설계도서 실무작업을 학습한다.
- 4정원및공간설계 Garden and Space Design
-
주택정원을 위주로 하여, 실내외 다양한 공간을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게 디자인하고 도면작성을 학습하여 도면집으로 완성하도록 한다.
- 5컴퓨터디자인기초 Basic CAD
-
정원 디자인을 전산화하는 CAD 프로그램의 기초 명령어와 운용능력을 학습한다.
- 6컴퓨터디자인응용 Applied CAD
-
선행 CAD학습과 연계하여 포토샵, 스케치업 등과 같은 관련 소프트웨어를 할용하여 설계도면작성법을 습득하고 도면의 컬러링 및 입체화를 학습한다.
- 7컴퓨터디자인심화 Improved CAD
-
다양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시설물 디자인이 포함된 정원설계도서를 작성하고 결과물을 판넬이나 PPT로 만들어 프리젠테이션할 수 있도록 한다.
가든디자인 분야
- 1화훼식물관리 Management of Flowering Plants
-
주변의 화단, 정원, 공원, 식물원, 골프장 등에서 많이 이용되는 주요 화훼식물의 특징과 구체적인 관리방법에 관하여 학습하여 실질적인 정원의 관리능력을 높이도록 한다.
- 2실내정원시공 Interioscape
-
주요 관엽식물의 종류별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파트 베란다 또는 대형 건물의 실내 환경에 적합한 실내정원을 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
- 3정원시공 Garden Construction
-
설계도서에 따라 식재계획을 수립하고 가식, 식재기반을 조성하여 식물을 생태적·기능적·심미적으로 식재할 수 있다.
- 4정원적산 Garden Estimation
-
설계도서를 검토하여 수량산출과 단가조사를 통해서 정원공사비를 산정하기 위한 산출근거를 만들고 공종별 내역서와 공사비 원가계산서를 작성할 수 있다.
- 5초화류관리 Maintenance of Herbaceous Plants
-
계절별 초화류 화단 조성계획 수립 및 시장조사, 식재기반 조성, 식재, 관수, 비배, 병충해, 잡초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.
- 6식물원교육해설 Botanic Garden Interpretation
-
식물원 개념, 역할 및 식물원 운영관리와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고 식물원에서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식물원 교육 및 해설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
- 7원예디자인프로젝트 Design Project of Horticulture
-
원예디자인의 계획과 실제를 팀 작업과 개인 작업으로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실습함으로써 원예디자인의 실무능력 및 작품의 완성도 그리고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배양한다.
- 8지피식물관리 Turfgrass and Ground Cover Plants
-
지피식물의 종류와 특성에 관하여 학습하고 특히 잔디의 깎아주기, 비배관리, 관수, 갱신 작업, 잔디 병충해 관리, 잡초 관리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.
- 9특수정원시공 Special Garden Construction
-
계획된 설계도를 바탕으로 옥상정원, 수직정원, 연못정원 등과 같은 특수정원의 시공과 관리에 관하여 학습한다.
- 10현장실습 Field Training
-
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이론과 기술을 다양한 현장실습을 통해 가드너 및 식물관리 분야의 직무수행역량을 함양한다.
정원관리 분야
- 1수목학 Dendrology
-
수목의 조직 및 기관의 구조와 기능, 수목의 종류 및 식별, 환경과 수목의 분포, 수목 종류별 용도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.
- 2수목병리학 Tree Pathology
-
식물병리학에 대한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수목, 초화류 등과 같은 관상식물에 발생하는 각종 병의 종류와 방제법에 관하여 학습한다.
- 3수목해충학 Insect Pests of Trees
-
해충학에 대한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수목, 초화류 등과 같은 관상식물에 발생하는 각종 해충의 종류와 방제법에 관하여 학습한다.
- 4농약 및 잡초방제 Agrochemical and Weed Control
-
수목 등 관상식물에 적용하는 농약의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특성, 효과적이고 안전한 농약사용법에 대하여 학습하고, 잡초의 종류와 특성에 기초한 잡초관리능력을 배양한다.
- 5산림생태학 Forest Ecology
-
대상지의 자연생태환경과 인문사회환경을 포함한 환경에 대하여 문헌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해 문제점과 잠재력을 파악하고 종합 분석할 수 있다.
- 6수목관리학 Tree Maintenance
-
수목 선정 및 식재, 수목의 유형별 정지전정, 시비, 관수, 위험수목 관리 및 제거 등 수목 유지 관리의 기본 능력을 배양한다.
- 7식물진단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n Plants
-
수목과 초화류의 병해충과 생리장애에 대한 진단법과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식물의학적 처리법을 습득하여 종합적인 식물관리 능력을 배양한다.